Easy to Please
윤상윤
윤상윤은 원래 오른손으로 그림을 그리는 화가다. 그의 그림은 정교하고 사실적이어서 그러한 회화적 기술은 복잡하고 상징적인 서사를 전달하는데 있어 탁월한 역량을 보여준다. 예컨대 2011년 작 <Switch-Off 2>와 같은 작품은 물속에 몸을 담그고 목욕을 하는 인물들 한 가운데 확성기를 들고 뭔가를 떠드는 인물이 그려져 있는데, 제목으로 보아 그의 목소리는 전달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회화는 이러한 부조리한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매체로 사용되었으며 종종 화면의 채도는 낮게 유지되었다.
2016년부터 윤상윤은 왼손으로 유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자신이 충분히 컨트롤 할 수 없는 팔과 손을 사용함으로써 그는 스스로에게 핸디캡을 부여한 것이다. 이 경우 나타나는 문제는 먼저 세부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붓의 움직임이나 필선 자체가 전혀 다른 사람의 것처럼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의 작업이 어려워지면서 페인팅 터치가 빠르고 단순해진다는 점도 있다. 반면 장점은 기존의 회화적 기술에 의존할 수 없게 되면서 회화의 핵심적 가치인 물성과 자발성, 그리고 보다 축약된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윤상윤은 오른손과 왼손의 회화라는 두 가지 방향을 동시에 유지해 왔으며 마치 자신 안에 두 명의 화가가 살고 있는 것처럼 두 개의 세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2016년부터 윤상윤은 왼손으로 유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자신이 충분히 컨트롤 할 수 없는 팔과 손을 사용함으로써 그는 스스로에게 핸디캡을 부여한 것이다. 이 경우 나타나는 문제는 먼저 세부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붓의 움직임이나 필선 자체가 전혀 다른 사람의 것처럼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장시간의 작업이 어려워지면서 페인팅 터치가 빠르고 단순해진다는 점도 있다. 반면 장점은 기존의 회화적 기술에 의존할 수 없게 되면서 회화의 핵심적 가치인 물성과 자발성, 그리고 보다 축약된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윤상윤은 오른손과 왼손의 회화라는 두 가지 방향을 동시에 유지해 왔으며 마치 자신 안에 두 명의 화가가 살고 있는 것처럼 두 개의 세계를 발전시키고 있다.
전시 제목인 <Easy to Please>는 작가가 심혈을 기울인 오른손 회화에 비해 보다 감각적인 왼손 회화가 더욱 쉽게 호감을 불러일으키는데 대한 아이러니컬한 대응인지도 모르겠다. 또는 왼손 회화 연작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신비스럽고도 자유분방한, 마치 소설 속에서 등장할 것 같은 모습들에 대해 선망과 불안감을 동시에 표출하는 감정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다. 분명한 것은 윤상윤의 왼손 회화는 작가 자신의 신체 뿐 아니라 그의 기억과 욕망, 정체성에 대해 많은 것들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점이 회화의 매력적인 본질이다.
무엇인가 비정형적이며, 무엇인가 중성적인 것으로 치닫는 왼손의 그림은 경험의 맛을 살려내는, 어쩌면 부드러운 언캐니한 느낌이 도사리고 있다. 이목구비가 없는 무면목의 얼굴들, 윤곽선이 뭉개지면서 사람과 공간 사이의 경계없음 상태, 고삐 풀린 파충류의 뇌가 선택한 것처럼 보다 대담하고 원색적인 몸에 가까운 배색. 여기에는 오른손 그림에서 송과선이 불거져나올 정도로 과도하게 피조물을 짓누르는 근원적인 고통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또는 대조시키는 감흥이 있다. 이러한 양손잡이 자연세계를 통해 윤상윤 작가는 수평적 질서로써 다시 한번 오른손 그림의 수직적 위계 구도를 요동시키고 있다고 할까. 혹은 이번에는 왼손 그림이 마치 자아 속의 괴물처럼 존재의 주장을 비대하게 하여 오른손 그림을 능가하려고 한다고 할까.
김남수(평론가)